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이야기24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및 유형자산의 처분 지난 시간에는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한 개념을 주로 살펴보았는데 오늘은 유형자산에 대한 부분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특히 유형자산의 취득, 감가상각비, 취득 후 추가적 지출, 유형자산의 처분에 대한 개념이 중요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유형자산에 대한 이해 2. 감가상각비에 대한 이해 3. 취득 후 추가 지출, 유형자산의 처분 1. 유형자산에 대한 이해 유형자산은 회사가 영업활동에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한 자산으로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유형자산의 계정과목은 업종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신설하거나 통합할 수 있습니다. 즉 당해 기업이 속한 업종의 특성상 특정 유형자산의 비중이 크면 별도의 계정과목을 설정해 사용하고 중요하지 않다면 통합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항.. 2023. 7. 21.
어음회계, 원천징수제도,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 이해 지난 시간에 공지한 바와 같이 오늘은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하여 이해하는 두 번째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 어음회계와 원천징수제도,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에 대한 부분입니다. 목차 1. 어음회계 2. 원천징수제도 3.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 1. 어음회계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채권·채무에 대하여 어음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은데 어음을 받는 경우 '받을 어음'이라고 하며 어음을 발행하여 지급하는 경우는 '지급어음'이라고 합니다. 외상거래에서 어음을 주고받는 이유는 어음법에 의하여 어음상 권리와 의무를 보호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음의 수취인은 어음의 지급기일이 도래하면 거래은행에 어음대금을 받아줄 것을 의뢰하는 것을 '추심의뢰'라고 하고 어음대금을 회수하.. 2023. 7. 20.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한 이해 계속해서 계정과목론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분량이 많아서 다음시간까지 총 두 차례에 걸쳐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당좌자산과 현금 및 현금성자산 2. 단기금융상품, 현금과부족 3. 단기투자자산, 외화채권과 외화채무 1. 당좌자산과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당좌자산이란 현금처럼 기업이 자금 운용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기간 종료일부터 1년 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중에 판매 목적으로 보유한 재고자산을 제외한 것을 의미합니다. 당좌자산의 종류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계정과목 내용 현금 및 현금성자산 현금 등 재무상태표 공시용 계정 단기금융상품 보고기간 종료일부터 만기가 1년 이내 도래하는 예금 및 적금 등의 금융상품 단기매매증권 주식.. 2023. 7. 19.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의 분류, 원가의 흐름에 대한 이해 오늘은 계정과목론 두 번째 장으로 '제조기업의 원가'라는 주제로 공부하겠습니다. 세부적인 주제로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의 분류에 대한 이해, 원가의 흐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원가의 개념과 목적 2. 원가의 분류 3. 원가의 흐름 1.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란 재화나 용역을 얻기 위해서 희생된 경제적 자원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제조회사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지출한 모든 금액의 합계를 말하며 이를 측정, 분류 및 기록하는 것을 원가회계라 하고 그 원가를 집계하여 분류, 계산하는 과정을 원가계산이라 합니다. 원가회계는 재무상태표상의 재고자산가액과 손익계산서상의 매출원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원가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산계획, 경영활동의 통제, 성과평가 등의..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