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순손익 계산을 위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등의 관계성 이해 오늘은 재무제표의 원리를 배우는 네 번째 시간으로 순손익 계산을 주제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세부내용으로 순이익과 순손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기초자본과 기말자본의 관계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순이익과 순손실 2. 순손익 계산방법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4. 기초자본과 기말자본의 관계 1. 순이익과 순손실 순이익은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영업활동)에 의하여 수익 총액이 비용 총액을 초과한 부분을 순이익이라고 합니다. 즉 이것은 기초자본에서 기말자본으로 증가한 부분입니다. 또한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경영성과(영업활동)에 의하여 비용 총액이 수익 총액을 초과한 부분을 순손실이라고 합니다. 즉 이것은 기초자본에서 기말자본으로 감소한 부분입니다. 순이익과 .. 2023. 6. 22.
포괄손익계산서 및 수익과 비용에 대한 이해 오늘은 포괄손익계산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표이며 여기에는 수익과 비용이 표시됩니다. 포괄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와 수익, 비용에 대한 개념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1. 포괄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 2. 수익에 대한 이해 3. 비용에 대한 이해 1. 포괄손익계산서에 대한 이해 포괄손익계산서(a statement of profit or loss and other comprehensive income)란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기업의 성과인 수익과 비용을 보고하는 재무제표입니다. 전통적으로 작성하여 왔던 손익계산서와 국제회계기준에서 규정하는 포괄손익계산서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국제회계기준은 소유주와의 거래를 제외한 거래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의 .. 2023. 6. 19.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이해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에 기업의 재무 상태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더불어 기업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재무상태표를 알아보고 이에 포함되는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재무상태표에 대한 이해 2. 자산에 대한 이해 3. 부채에 대한 이해 4. 자본에 대한 이해 1. 재무상태표에 대한 이해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는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며 여기서 '일정 시점'이란 보통 회계기간 마지막 달인 결산일(보고기간 종료일)을 의미합니다. 회계기간이 1월 1일부터 12월 31일이라면 보고기간 종료일은 12월 31일이 됩니다. 그러나 사업개시일, .. 2023. 6. 17.
부기와 회계, 기업의 경제활동, 부기의 종류에 대한 이해 오늘은 회계의 기초 개념에 대해 공부하는 첫 시간입니다. 부기와 회계에 대해 알아보고 장부를 기입하는 주체로서 기업의 경제활동, 기업의 분류, 부기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부기와 회계 2. 기업의 경제활동 3. 부기의 종류 1. 부기와 회계 회계(Accounting)란 무엇인가? 혹은 회계의 정의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을 받는다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을 받는다면 일반적으로 회계란 돈, 계산, 복잡한 것 등의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과거에는 '장부기입'의 줄임말인 '부기'로 회계를 생각했습니다. 장부를 기입하는 이유는 과거와 현재의 수입과 지출을 확인하여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개인만 보더라도 용돈기입장과 가계부등을 통해..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