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주식기준보상거래의 회계처리 기업이 종업원이나 기타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고 기업의 주식이나 주식선택권을 대가로 제공하는 경우 주식기준보상의 회계처리를 적용합니다. 오늘은 주식기준보상거래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의의 2.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인식 3. 가득 조건과 보상비용의 인식 1.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의의 주식기준보상거래(share-based payment transactions)란 기업이 거래상대방으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대가로 기업의 지분상품(주식 또는 주식선택권 등)을 부여하거나 기업의 주식이나 다른 지분상품의 가격에 기초한 금액만큼의 부채를 부담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주식기준보상거래의 대표적인 예로 기업이 종업원에게 주식선택권(stock opt.. 2023. 9. 12.
퇴직급여제도와 회계처리 목차 1. 퇴직급여제도에 대한 이해 2. 확정기여제도의 회계처리 3. 확정급여제도의 회계처리 1. 퇴직급여제도에 대한 이해 퇴직급여란 임직원이 퇴직하였을 때 일시금 또는 연금형태로 지급하는 종업원급여로서 근로를 제공한 때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퇴직할 때 지급하는 점에서 다른 종업원급여와 차이가 있습니다. 퇴직급여제도는 기업이 퇴직급여를 지급하기로 하는 협약을 말하며 확정기여제도(defined contribution plans)와 확정급여제도(defined benefit plans)로 구분됩니다.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의 특징을 요약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구분 특징 확정기여제도 ① 기업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는 기업이 기금에 출연하기로 약정한 금액으로 한정 ② 종업원이 받을 퇴직급여액은 기업과 종업.. 2023. 9. 6.
투자부동산, 매각예정비유동자산 및 생물자산 오늘은 투자부동산과 매각예정비유동자산 그리고 생물자산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목차 1. 투자부동산 2. 매각예정비유동자산 3. 생물자산 1. 투자부동산 부동산(토지나 건물)을 재화의 생산이나 용역의 제공 또는 관리목적에 사용한다면 이는 유형자산에 해당되며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부동산(예: 부동산개발업자가 판매할 목적으로 개발 중인 토지)은 재고자산에 해당됩니다. 투자부동산(investment property)은 기준서 제1040호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동 기준서에서 열거하는 투자부동산에 해당되는 경우와 해당되지 않는 경우를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투자부동산 해당 여부의 예 투자부동산에 해당되는 경우 투자부동산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 장기시세차익을 얻기 위해 보유하고 .. 2023. 8. 31.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이해 오늘은 국제회계기준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과 특징, 우리나라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및 적용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2. 국제회계기준의 주요 특징 3. 우리나라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및 적용 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과거처럼 국가 간 자본거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는 국가 간 회계기준이 다소 불일치하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1980년대부터 가속화된 자본시장의 국제화로 인하여 국가마다 상이한 회계기준의 적용이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의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고자 한다면 미국의 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재작성해야 하고 영국의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고자 한다면 다시 영국이 회계기준에 .. 2023.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