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 회계기준에 대한 이해 오늘 공부할 내용은 '회계기준에 대한 이해'의 시간입니다. 회계기준의 필요성, 회계원칙, 우리나라의 회계기준의 제정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회계기준의 필요성 2.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 3. 우리나라 회계기준의 제정 및 구조 1. 회계기준의 필요성 기업은 정부의 규제 또는 자발적인 결정으로 외부정보이용자에게 회계정보를 제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회계정보는 재무제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현금흐름 및 자본변동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런데 기업이 임의로 재무제표의 내용 및 형식을 정해서 작성·보고한다면 회계정보이용자의 유용성은 감소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의 거래에 대해서 기업마다 측정한 결과나 보고하는 형식이 다르다면 회계.. 2023. 8. 19. 재무보고의 규제, 재무회계정보의 기능 오늘은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을 공부하는 두 번째 시간으로 세부내용은 재무보고의 규제 및 재무회계정보의 기능에 관한 내용입니다. 오늘도 유익한 시간 되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1. 재무보고의 규제 2. 재무회계정보의 기능-역선택 문제 대처 3. 재무회계정보의 기능-도덕적해이 대처 1. 재무보고의 규제 기업은 외부정보이용자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당해 기업과 관련된 회계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회계정보의 제공에 대해서 기업들은 별도의 규제가 없어도 자발적으로 재무보고를 할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 반면 재무보고에 대한 강제적인 규제가 있어야 재무보고를 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먼저 '자발적 재무보고'의 주장을 살펴보겠습니다. 대리인이론(agency theory)은 기업을 여러 이해관계자 집단.. 2023. 8. 12. 재무회계의 의의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은 회계의 기초원리였습니다. 오늘부터는 내용을 심화하여 '중급회계'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기초를 공부했기 때문에 좀 더 심화된 내용이 나오더라도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늘은 '재무회계의 의의'를 주제로 공부하겠습니다. 목차 1. 회계의 정의 2. 재무보고 3. 재무제표와 회계감사 1. 회계의 정의 1941년 미국공인회계사회(AICPA)의 회계용어공보(ATB)에서는 회계를 "재무적 특성을 가진 거래나 사건을 의미 있는 방법과 화폐단위에 의하여 기록, 분류, 요약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art)"로 정의하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아직 회계를 학문 또는 과학(science)으로 인식하지 않고 단순한 기술로 간주하였습니다. 이후 미국회계학회(AAA)에서 '기초적 회계이.. 2023. 8. 11. 결산과 재무제표의 연관관계 오늘은 결산과 재무제표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공부해 보겠습니다. 기말수정분개 시 선급비용, 선수수익, 미지급비용, 미수수익에 대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결산의 의의 2. 기말수정분개 3. 발생항목의 결산정리(미지급비용, 미수수익) 1. 결산의 의의 기업은 회계기간 동안 거래가 발생하면 이를 거래의 8요소에 따라 분개장에 분개한 후 총계정원장에 전기해 놓았다가 회계연도 말이 되면 회계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만들게 됩니다. 즉 '결산'이란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내용과 그 결과물을 종합해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수행하는 회계기간 중 회계처리와 결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3. 7. 3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