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이야기

부기와 회계, 기업의 경제활동, 부기의 종류에 대한 이해

by 행주대표 2023. 6. 16.

오늘은 회계의 기초 개념에 대해 공부하는 첫 시간입니다. 부기와 회계에 대해 알아보고 장부를 기입하는 주체로서 기업의 경제활동, 기업의 분류, 부기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부기와 회계

2. 기업의 경제활동

3. 부기의 종류

1. 부기와 회계

회계(Accounting)란 무엇인가? 혹은 회계의 정의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을 받는다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을 받는다면 일반적으로 회계란 돈, 계산, 복잡한 것 등의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과거에는 '장부기입'의 줄임말인 '부기'로 회계를 생각했습니다. 장부를 기입하는 이유는 과거와 현재의 수입과 지출을 확인하여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개인만 보더라도 용돈기입장과 가계부등을 통해 일정기간 동안 돈의 유입과 지출을 관리하여 재산증식에 힘쓰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하물며 기업의 경우에는 수입과 지출의 규모가 가계에 비해 월등하게 클 것이므로 장부기입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됩니다. 즉 장부기입의 약칭인 부기(Bookkeeping)란 '기업이 경제활동에 따른 재산의 증감변화를 일정한 원리에 따라 기록하는 절차'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회계란 '부기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정보가 필요한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결국 회계는 부기의 개념에서 정보전달과정을 추가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기업은 이해관계자드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회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회계는 기업의 경제활동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각종 도움이 되는 정보를 주변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영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2. 기업의 경제활동

장부를 기입하는 주체는 기업입니다. 기업이란 영리를 얻기 위하여 만들어진 조직체를 말하며 경제활동을 통해 기업의 영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자 합니다. 경제활동은 기업이 하는 모든 활동으로 영업활동과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을 의미합니다. 즉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고, 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재무활동이라 합니다. 또한 영업활동을 위한 시설투자 및 여유자금에 대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투자활동으로 규모를 키워 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기업은 법률적 형태에 따라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으로 나뉘며 영업활동에 따라 상기업, 제조기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인기업은 출자자 개인과 기업이 분리되지 않아 기업이 별도로 독립된 법인격을 갖추지 못한 형태의 기업을 말합니다. 즉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소유와 경영이 일치되는 형태의 소규모 기업으로 기업의 성쇠가 출자자 개인의 역량에 의존됩니다. 법인기업은 개인기업과 달리 법인격을 가지고 스스로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되며 기업의 소유자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개인자금으로는 사업을 영위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투자자에게 자금을 조달받아 전문경영인에게 활동을 맡깁니다. 법인기업의 종류에는 합명회사, 합자회사, 유한회사, 주식회사가 있는데 대부분의 우리나라 회사는 주식회사 형태입니다. 주식회사는 개인기업보다 공신력과 신용도가 높기 때문에 신주 및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용이하고 영업활동에 있어서도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상기업은 상품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기업입니다. '상품'이란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판매목적으로 만들어진 물건을 사 온 경우 그 물건을 의미합니다. 제조기업은 원자재를 사 와서 공장에서 제품을 만들고 만들어진 제품을 비싸게 파는 기업을 말합니다. '제품'이란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판매목적으로 직접 제조하여 만든 물건을 의미합니다.

3. 부기의 종류

부기는 기록,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단식부기, 복식부기로 나뉘며 영리성의 유무에 따라 영리부기와 비영리부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식부기(Single Entry Bookeeping)는 재산의 증감변화를 일정한 원리 없이 결과만 한번 기록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러한 단식부기는 계산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업의 경제활동을 체계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식부기는 가계, 소기업, 비영리법인 등에서 사용될 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복식부기(Double Entry Bookkeeping)는 재산의 증감변화를 일정한 원리, 원칙에 따라 원인과 결과로 나누어 두 번 기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두 번 기록을 해야 하므로 기록하는 장소가 두 곳이 필요합니다. 두 곳 중 왼쪽을 차변, 오른쪽을 대변이라 하며 원인과 결과를 차변과 대변에 나누어 기록합니다. 이러한 복식부기는 '거래의 이중성', '대차평균의 원리', '자기검증기능'의 특징이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에서 이용됩니다. '거래의 이중성'이라 함은 재산의 증감변화를 차변 요소와 대변 요소로 나누어 기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차변 요소와 대변 요소는 서로 원인과 결과가 됩니다. '대차평균의 원리'라 함은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에 동일한 금액으로 기록되므로 일정기간 동안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는 항상 일치하게 되는데 이를 대차평균의 원리라고 합니다. '자기검증기능'이라 함은 모든 거래는 동일한 금액을 이중으로 기록하므로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는 항상 일치합니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기록, 계산상의 오류나 탈루가 있음을 자동으로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자기검증기능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부기라 하면 곧 복식부기를 의미합니다. 영리부기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장부기입을 말하며 상업부기, 공업부기, 은행부기, 보험부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특히 상업부기는 상기업의 부기를, 공업부기는 제조기업의 부기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