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계정과목론 두 번째 장으로 '제조기업의 원가'라는 주제로 공부하겠습니다. 세부적인 주제로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의 분류에 대한 이해, 원가의 흐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원가의 개념과 목적
2. 원가의 분류
3. 원가의 흐름
1.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란 재화나 용역을 얻기 위해서 희생된 경제적 자원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제조회사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지출한 모든 금액의 합계를 말하며 이를 측정, 분류 및 기록하는 것을 원가회계라 하고 그 원가를 집계하여 분류, 계산하는 과정을 원가계산이라 합니다. 원가회계는 재무상태표상의 재고자산가액과 손익계산서상의 매출원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원가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예산계획, 경영활동의 통제, 성과평가 등의 관리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원가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원가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2. 원가의 분류
발생형태에 따른 원가의 분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재료비는 제품 생산을 위하여 소비된 원재료의 가액입니다. 노무비는 제품 생산을 위하여 투입된 노동력의 대가입니다. 마지막으로 경비는 제품 생산에 소비된 원가요소 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원가를 말합니다. 추적 가능성에 따른 원가의 분류는 직접비와 간접비로 나뉩니다. 직접비는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할 수 있는 원가요소 즉 특정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간접비는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할 수 없는 원가요소 즉 둘 이상의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공통원가를 말합니다. 제조활동 관련성에 의한 원가분류는 제조원가, 비제조원가, '제조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의 구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제조원가입니다. 제조원가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비된 경제적 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로 구분됩니다. 직접재료비(Direct Material Costs)는 특정제품에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원재료 사용액을 말합니다. 즉 간접재료비는 제조간접비에 해당합니다. 직접노무비(Direct Labor Costs)는 특정제품에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노동력의 사용액을 말합니다. 제조간접비(Factory Overhead Costs)는 특정제품에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원가입니다. 즉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감가상각비(공장분) 보험료, 수선비, 동력비 등은 제조간접비에 해당합니다. 비제조원가란 기업의 제조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원가로 판매비와 관리비(판관비)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조원가를 구성하지 않지만 발생한 즉시 비용으로 처리하는 기간비용에 해당합니다. 제조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의 구분입니다. 제조원가는 제품 생산과 관련하여 발생한 원가만을 포함하여야 하며 그 외의 비용은 제품의 제조원가에 포함하지 않고 판매비와 관리비로 처리합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제조원가는 공장에서 발생한 원가이고 판매비와 관리비는 본사에서 발생한 원가입니다.
직접비(기본원가, Prime Costs)는 제품을 제조하는 데 기본이 되는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의 합이며 기본원가라고도 합니다.
직접비(기본원가)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가공비(전환원가, Conversion Costs)는 제품을 가공하는 데 소요되는 원가로서 직접노무비와 제조간접비의 합이며 전환원가라고도 합니다.
가공비(전환원가)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원가행태란 조업도 수준의 변동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하는 원가발생액의 변동양상을 말하며 원가행태에 따라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류됩니다. 여기에서 조업도란 일정기간 기업의 설비능력을 이용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생산량, 직접노동시간, 기계작업시간 등이 있습니다. 이때 원가행태는 제품단위당 원가 기준이 아닌 원가 총액을 기준으로 함에 주의합니다.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총원가가 직접적으로 비례해서 증감하는 원가를 변동원가라고 합니다. 이는 다시 순수변동비와 준변동비로 구분됩니다.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는 무조건 변동비에 해당하며 제조간접비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의 성격이 같이 존재합니다. 순수변동비 : 조업도의 변화에 정비례하여 총원가가 변동하는 원가를 순수변동비라 합니다. 따라서 순수변동비는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원가 총액은 증감하나 단위당 원가는 조업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의 원가입니다. 준변동비(Semi-Variable Costs)는 혼합원가(Mixed Costs)라고도 하며 조업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한 고정비와 변동비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원가를 말합니다. 전력비, 택시요금, 휴대폰요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고정비(Fixed Costs)는 조업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를 고정비라고 하며 이는 다시 순수고정비와 준고정비로 나뉩니다. 순수고정비는 조업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총원가가 일정한 원가를 순수고정비라고 합니다. 따라서 순수고정비는 조업도의 변동과 무관하게 원가 총액은 일정하나 단위당 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반비례하는 형태의 원가입니다. 준고정비(Semi-Fixed Costs)는 특정 범위의 조업도 내에서는 총원가가 일정하지만 조업도가 특정 범위를 벗어나면 일정액만큼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가를 말합니다. 준고정비는 계단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계단원가라고도 합니다.
3. 원가의 흐름
원가의 흐름이란 원가가 발생, 변형, 소멸되는 과정을 말하며, 이는 나중에 제품 계정에 집계됩니다. 제조업에서는 기본적으로 원재료, 재공품, 제품 등의 재고자산이 발생하며 여기에서는 원재료 등의 재고자산이 제품의 제조원가와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아보기로 합니다. 원가의 흐름은 원가회계 전반에 걸친 개념으로 T계정으로 각 계정의 금액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당기총제조원가와 당기제품제조원가 두 가지 개념이 중요합니다. 당기총제조원가는 당기 중 제조과정에 투입된 모든 제조원가의 금액을 말합니다. 즉 재공품 계정에 집계된 당기발생원가의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의 합입니다. 또한 당기제품제조원가는 당기에 완성된 제품의 제조원가입니다. 즉 재공품 중에서 완성되어 제품으로 대체되는 부분에 해당합니다. 기초재공품과 당기총제조원가를 합산한 금액에서 기말재공품을 뺀 것이 당기제품제조원가입니다. 아래는 제조원가의 T계정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냈습니다.
제조원가명세서는 제조기업의 당기제품제조원가 계산을 나타내는 명세서로서 원재료 계정과 재공품 계정의 변동사항이 표시되는 내부관리용 보고서에 해당합니다. 반면 제품 계정의 변동사항을 표시하는 손익계산서는 외부공시용 재무제표입니다.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음회계, 원천징수제도,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 이해 (0) | 2023.07.20 |
---|---|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한 이해 (0) | 2023.07.19 |
재고자산의 매출원가, 기말재고자산 처리, 재고자산의 단가결정 방법 (0) | 2023.07.17 |
재무제표의 기본구조 이해 및 상기업의 회계처리 (0) | 2023.07.16 |
전기와 회계장부, 회계순환의 과정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