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공지한 바와 같이 오늘은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하여 이해하는 두 번째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오늘 살펴볼 내용은 어음회계와 원천징수제도,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에 대한 부분입니다.
목차
1. 어음회계
2. 원천징수제도
3.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
1. 어음회계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채권·채무에 대하여 어음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은데 어음을 받는 경우 '받을 어음'이라고 하며 어음을 발행하여 지급하는 경우는 '지급어음'이라고 합니다. 외상거래에서 어음을 주고받는 이유는 어음법에 의하여 어음상 권리와 의무를 보호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음의 수취인은 어음의 지급기일이 도래하면 거래은행에 어음대금을 받아줄 것을 의뢰하는 것을 '추심의뢰'라고 하고 어음대금을 회수하는 것을 '추심'이라 합니다. 또한 추심을 의뢰하면서 지급한 수수료는 수수료비용 계정으로 처리하며 여기서 수수료비용은 판매비와 관리비에 해당합니다. 또한 부도어음은 만기가 되어 지급을 청구하였으나 지급불능이 되어버린 어음을 말합니다. 어음부도 시 회계처리는 어음금액에 관련 비용(지급거절작성비용 등)을 가산한 금액을 '부도어음과 수표'계정으로 처리합니다. '부도어음과 수표'계정은 회계기간 중에 사용하는 임시 계정이므로 재무상태표상에서는 매출채권에 포함시켜서 보고합니다. 어음의 배서란 수취한 어음을 만기가 되기 전에 상품매입대금이나 외상매입금의 지급을 위하여 제삼자에게 양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어음의 뒷면에 양도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하는데 이를 '배서'라고 합니다. 어음을 타인에게 배서양도하면 어음상의 채권이 소멸하므로 대변에 받을 어음 계정을 기입해야 합니다. 어음의 할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취한 어음은 만기일이 되어야 어음대금을 추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금이 필요한 경우 기업은 만기일 이전에 은행에 배서양도하고 자금을 융통받게 되는데 이를 '할인'이라 합니다. 어음의 할인은 만기일 이전에 만기에 추심할 어음의 액면을 담보로 어음대금을 미리 지급받는 것이므로 만기일까지의 이자를 공제하고 잔액만 받게 됩니다. 이때 차감되는 이자를 할인료라 합니다.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매출채권 등을 타인에게 양도 또는 할인하는 경우 채권에 대한 권리와 의무가 양도인과 분리되어 실질적으로 이전되는 때에는 동 금액을 매출채권에서 차감하고(매각거래), 그 이외의 경우에는 매출채권 등을 담보제공(차입거래) 한 것으로 봅니다.
2. 원천징수제도
원천징수제도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특정 소득을 지급할 때 소득자가 내야 할 세금을 걷어서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다가 대신 납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원천징수하여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금액을 '예수금"이라 하며 소득을 얻는 자가 원천징수 당한 금액은 다음에 납부해야 할 세금을 미리 납부한 것이므로 '선납세금'이라 합니다. 예수금은 최종적으로 제3자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을 기업이 거래처나 종업원에게 미리 받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경우 사용하는 유동부채이며 관련 기관에 납부하게 되면 현금 계정 등에 대체됩니다. 즉 예수금은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소득세, 건강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등 근로자 부담액을 일시적으로 받았다가 대신 납부해야 하는 금액을 말하는 것입니다.
선납세금이란 소득자 입장에서 이자소득 등에 대하여 원천징수 당한 경우 미리 납부한 세금을 말합니다. 선납세금은 다음연도에 세금을 신고·납부할 때 내야 할 세금을 줄이거나 세금이 없다면 환급 받게 되는 것으로 당좌자산으로 분류됩니다.
3. 가지급금과 가수금, 유동성 장기부채
가지급금이나 가수금은 현금을 실제로 주고받았으나 거래가 오나결되지 않아 용도와 금액이 불분명하여 이들을 처리할 계정과목이나 금액이 확정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하는 임시 계정입니다.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 가지급금과 가수금 계정은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계정과목이므로 결산일까지 그 내역을 확인하여 올바른 계정과목으로 재무제표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지급금은 실제 현금지출은 있으나 계정과목이나 금액을 확정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일시 당좌자산 계정입니다. 즉 비용이 발생할 것은 확실하나 아직 용도가 확정되지 않은 임시 금액을 말합니다. 아래는 가지급금 분개 예시입니다.
가수금은 회사가 내용불명의 송금액을 받은 경우 등에 사용하는 임시 유동부채 계정입니다. 가수금 분개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유동성 장기부채는 본래는 만기가 1년을 초과하여 남아 있는 장기부채였으나 시간의 경과로 인해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만기가 1년 이내로 도래한 부채를 말합니다. 유동성 장기부채의 분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자산, 투자자산, 기타의 비유동자산에 대한 이해 (0) | 2023.07.23 |
---|---|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및 유형자산의 처분 (0) | 2023.07.21 |
당좌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한 이해 (0) | 2023.07.19 |
원가의 개념과 목적, 원가의 분류, 원가의 흐름에 대한 이해 (0) | 2023.07.18 |
재고자산의 매출원가, 기말재고자산 처리, 재고자산의 단가결정 방법 (0) | 2023.07.17 |